추진배경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총 1,212개이며,
제조업 생산의 70%, 수출의 74%, 고용의 49%를 차지 지역 제조업 생산, 고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며 중소기업의 요람, 지역경제의 중추 역할을 수행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산업단지 대개조를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대책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등이
참여하는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일자리 기획단은 대책의 신속하고 내실있는 추진을 지원하고 있음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총 1,212개이며,
제조업 생산의 70%, 수출의 74%, 고용의 49%를 차지 지역 제조업 생산, 고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며 중소기업의 요람, 지역경제의 중추 역할을 수행
산업단지를 지역주도의 일자리 창출 거점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일자리 프로젝트”
지역
종합 계획을 수립하여 사업을 추진정부
선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부처별 사업을 패키지화하여 지원선정된 지역은 종합 성과목표와 대상사업별 성과목표를 중심으로 정부와 성과협약을 체결하고,
정부는 모니터링․성과평가를 실시
선정지역
종합 성과목표
대상사업별 성과목표 3년 이내 고용, 매출, 수출, 생산,
역내 거래관계, 만족도 등 정량 및 정성 목표
선정지역 정부 상호간성과협약 체결
정부에서 선정지역을모니터링·성과평가
정부
개별산단의 재생·고도화 지원
허브산단중심의 지역혁신 종합지원
중앙주도 산단정책
지역주도로 산단중심 혁신계획 수립
부처간 협력·연계 미흡
범부처 차원의 패키지 지원 제공
규제중심 운영
기업중심·진흥중심을 통한 투자확대 유도
대기업 이전 등으로 인한 생태계 부재를 극복하고자 차세대 모바일-디스플레이 등 거점-연계 산단 협력 모델을 구상하고, 도시재생, 공유형 교통체계 등을 통해 산단 중심의 일자리 여건을 개선
거점산단
구미
전기전자 거점연계산단
김천1
e-모빌리티성주
뿌리기업 중심 차량부품왜관
스마트물류목표
ICT 실증기반 전기전자업종 고부가가치화 등으로기존 광·가전과 자동차전장부품 산업 융합을 통해 지역 내 新자동차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자 거점-연계 특화 육성 방안을 마련하고, 노후인프라 스마트 개조, 정주환경 개선 등으로 쾌적한 도심형 산단으로 전환
거점산단
첨단
전장부품·모듈 공급연계산단
빛그린
친환경완성차하남
금형,가공,부품 공급목표
입주기업 공동혁신 R&D, 제조혁신 기반구축 등으로기존 주력산업(기계금속, 운송장비, 섬유)을 거점-연계산단에 로봇, 기능성소재 등의 산업생태계로 고도화하는 전략을 제시하고, 노후인프라 스마트 개조, 도시재생뉴딜 등으로 경제・생활권을 정비
거점산단
성서
자동자 부품연계산단
서대구
산업용섬유, 금속제3산단
기계, 금속연계지역
혁신경제벨트
혁신자원목표
협동로봇 규제자유특구, 혁신창업생태계, 제조로봇 실증지원, 산단형 스마트시티(챌린지), 산업단지 상상허브 조성 등으로거점·연계산단·지역 잠재력을 활용, 기존 뿌리산업을 고부가 바이오(진단키트, 시약제조) 및 소재부품장비 산업(미래차 부품, 희토류 등)으로 전환하고, 소재부품 R&D 등 중소기업에 초점을 둔 특화 전략 마련
거점산단
남동
뿌리 소재부품 장비 거점연계산단
주안 · 부평
기계, 전기전자, 완성차연계산단/지역
IFEZ 송도지식 정보산단
바이오/헬스케어, IT융합목표
산단형 스마트시티(챌린지), 노후산단 재생, 바이오 원부자재 개발지원, 뿌리기업 공정환경 개선 등으로주력산업(화학·철강)과 연계한 이차전지 등 차세대 소재·부품 산업생태계 조성과 함께 인접한 거점-연계산단 간 환경·안전·교통·물류 통합 관리를 위한 대형 ICT 인프라 활용 전략을 제시
거점산단
여수
석유화학연계산단
광양
금속, 비금속율촌제1
금속, 기계, 화학, 이차전지연계지역
여수 · 광양항 항만부지
물류목표
노후산단 재생, 행복주택 건립, 노후인프라 정비 등으로도움말 도움말 창 닫기
일자리신문고에서는 민원사무 처리에 관한 법률 및 동법시행령,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12조 제16호 등에 따라 민원 처리를 위한 자료의 보완이나 처리결과를 알려드리기 위해 신청인의 실명과 주소, 전화번호 등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및 기업정보는 민원처리 이외의 용도에는 절대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외부로 유출되지 않습니다.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하거나 부정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관련법률 : 주민등록법 제37조)
본문 중 타인의 사생활 비방 등의 내용은 명예훼손 등 관련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이용문의 홈페이지이용 문의 닫기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대표메일로 문의를 주시면
담당자 확인 후 회신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MAIL 문의 : jobfirst@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