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 지역 일자리 추진성과
국민생활과 밀접한 현장중심의 일자리 확충을 통해 안전·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청년 등의 빈곤 및 고용애로를 완화하였습니다.
또한 창업 활성화, 상생형 지역일자리 확산, 신산업분야 일자리 확대 등 민간부문 일자리를 확대하였습니다.
공공일자리 분야
-
안전·사회복지·보건 등 국민생활과
밀접하고 수요가 많은 분야의
현장민생공무원을 확충
경찰·소방 등 현장민생공무원
약6.8만명 증원
-
보육·요양·보건 등 수요가 많고 필요성이 큰
사회서비스 분야를 확충,
공공성 향상 및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회서비스원’ 설립 추진
보육·요양 등 사회서비스일자리
약 14.7만명 채용
-
노인 등 저소득 취약계층의
일자리·소득기반 확충을 위한
직접일자리 사업 지속 추진
노인일자리(만개)
2018년 51→ 2019년 61→ 2020년 74
민간일자리 분야
-
벤처투자 규모확대 및 신설법인 증가
신규벤처투자(조원)
(2014)1.6 ⇒ (2017)2.4 ⇒ (2019)4.3
신설법인(만개)
(2014)8.5 ⇒ (2017)9.8 ⇒ (2019)10.8
-
혁신창업 및 성장단계별 지원 확대
취약분야 대상 모태펀드 조성
(44개 펀드, 1.9조원)
TIPS 프로그램 지원확대
-
창업 부담 완화·실패 안전망 확충 등을 통해
원활한 창업 기반 마련 노력
개인 파산 시 압류재산 제외범위 확대
정책금융기관 신규 대출 연대보증 폐지
창업기업 부담금 면제연장
재산세 감면확대
-
지역 노사민정 합의에 기반한 상생협약 체결
(7개 지역)
약 2.9조원의 투자
9,800여개 일자리 창출 예정
-
주력제조업 고도화 추진
「제조업 르네상스 비전 및 전략」발표
-
신산업 육성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 역량 강화
ICT 규제샌드박스 제도 시행
규제자유특구 시행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확대
SW교육 선도학교 확대